맨위로가기

필리핀 성공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필리핀 성공회는 1898년 미국-스페인 전쟁 이후 필리핀이 미국의 식민지가 되면서 시작되었다. 미국 성공회 소속 찰스 피어스 목사가 최초의 예배를 거행한 이래, 1901년 찰스 헨리 브렌트 주교가 초대 주교로 임명되어 선교 구역이 설립되었다. 1937년 필리핀 성공회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1990년 미국 성공회로부터 자치 교회가 되었으며, 1991년에는 성공회 공동체의 독립적인 관구가 되었다. 현재 7개의 교구와 약 12만 5천 명의 신자를 두고 있으며, 수석 주교가 교회를 이끈다. 필리핀 성공회는 가톨릭 신자보다는 비기독교인, 특히 산악 지대 원주민과 무슬림을 대상으로 선교해왔으며, 학교와 병원 등 사회 참여 활동도 활발히 펼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01년 설립된 종교 단체 - 무교회주의
    무교회주의는 기독교 신앙을 성서에 두고 교회 형식주의를 비판하며 교회 조직과 제도에서 벗어나 성경 연구와 실천, 간소화된 예배, 목사 제도 부재 등을 특징으로 하는 사상이다.
  • 1901년 설립된 종교 단체 - 호주장로교회
    호주장로교회는 1788년 영국 이주민과 함께 시작된 호주의 개신교 장로교 교단으로, 호주 연합 교회 창립 시도와 교단 내 보수적 입장, 여성 안수 문제, 자유주의 신학 논쟁 등을 겪으며 현재 다양한 기독교 단체와 협력하고 학교, 신학 대학, 서점 운영 등 활동을 펼치고 있다.
  • 성공회 - 오스트레일리아 성공회
    오스트레일리아 성공회는 1787년 첫 함대의 도착과 함께 시작되어 식민지 사회에 기여하며 발전, 1962년 자치권을 획득하고 1981년 공식 명칭을 변경했으며, 현재 여성 사제 및 주교 서임 허용과 LGBT 관련 문제로 내부 갈등을 겪고 있는 호주의 성공회 교회이다.
  • 성공회 - 고교회파
    고교회파는 17세기 영국 성공회 내에서 전례와 교회 전통을 중시하는 신학적 입장을 지칭하는 용어로, 전통 옹호, 앵글로 가톨릭 유사성, 토리당 연관성, 현대적 이슈에 대한 내부 다양성 및 갈등 등의 특징을 보인다.
필리핀 성공회
개요
필리핀 성공회 문장
필리핀 성공회 문장
유형서방 기독교
분류개신교(주류 개신교)
성향성공회, 앵글로-가톨릭
경전성경
신학성공회 교리
정치 체제감독제
약칭ECP
설립일1901년 (필리핀 제도 선교 구역으로)
독립1990년
분리미국 성공회
수장 직함관구장 주교
수장브렌트 해리 알라와스
본부필리핀 케손 시 뉴마닐라, 성당 고지
지역필리핀
관련 단체성공회, 필리핀 교회 협의회, 아시아 기독교 협의회, 세계 교회 협의회
완전한 친교 관계필리핀 독립 교회
신자 수125,000명
신학교성 안드레 신학대학
대학교트리니티 대학교, 이스터 칼리지
웹사이트필리핀 성공회 웹사이트
명칭
영어Episcopal Church in the Philippines

2. 역사

1898년, 스페인-미국 전쟁에서 승리한 미국필리핀식민지로 만들면서, 미국군 군목 찰스 피어스(Charles Pierce) 사제가 필리핀에서 최초의 성공회 예배를 집례했다. 이듬해에는 중국계 필리핀인이 처음으로 세례를 받았다.

1901년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미국 성공회 총회에서 '''필리핀 제도 선교 지구'''(Missionary District of the Philippine Islands)가 설치되었고, 찰스 브렌트(Charles Brent)가 초대 주교로 임명되었다. 이후 프랭크 모셔(Frank Mosher) 주교가 1920년부터 1940년까지 재임했다.

1937년 에두아르도 롱기드(Eduardo Longid), 알베르토 마스페레(Albert Masferre), 마크 술렌(Mark Suluen)이 부제로 서품되어 최초의 필리핀인 성직자가 되었다. 이듬해 롱기드와 마스페레는 사제로 서품되었다. 같은 해, 신시내티에서 열린 미국 성공회 총회는 필리핀 제도 선교 지구를 '''필리핀 성공회'''(Philippine Episcopal Church)로 승격시켰다.

1942년 일본 성공회 도호쿠 교구 주교였던 노먼 빈스테드(Norman S. Vinstead)[6]가 필리핀 성공회 제3대 주교로 부임했다. 같은 해 일본군이 필리핀을 침공하면서 미국인 선교사들은 모두 수용소에 갇혔지만, 일본어를 할 수 있었던 빈스테드 주교 덕분에 보호받을 수 있었다. 필리핀 성공회는 롱기드와 마스페레, 두 필리핀인 사제가 이끌었다.[7]

일본군 점령에서 해방된 후, 필리핀 성공회는 대부분의 건물을 잃었다. 빈스테드 주교는 마닐라의 주교좌 성당 부지를 매각하고, 케손 시에 18ha 규모의 부지를 구입하여 주교좌 성당, 성 루크 의료 센터(St. Luke's Medical Center) 등 교회 시설을 이전했다. 사가다(Sagada)에 있던 성 안드레 신학교도 1947년 케손 시로 이전, 1953년 교사가 완공되었고, 1960년에는 예배당, 도서관, 기숙사도 완공되었다.

라이먼 오길비(Lyman C. Ogilvy) 제4대 주교 시절, "필리핀화"가 진행되었다. 1959년 베니토 카반반(w:Benito Cabanban)이 최초의 필리핀인 보좌 주교로 서품되었고, 1964년에는 롱기드도 보좌 주교가 되었다. 1967년 카반반 보좌 주교가 제5대 필리핀 주교로 취임하여 최초의 필리핀인 주교가 되었다. 1971년에는 하나의 교구를 세 개로 나누고, 각 교구에 카반반, 롱기드, 콘스탄시오 망구라마스(Constancio Manguramas) 주교 등 필리핀인 주교들이 임명되었다.

1991년 5월 1일, 필리핀 성공회는 미국 성공회에서 분리되어 성공회 공동체(Anglican Communion)의 독립적인 관구가 되었다. 본부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마닐라에서 케손 시로 이전한 성 마리아-성 요한 대성당(Cathedral of St. Mary and St. John)이다. 신자 수는 약 12만 5천 명으로 추정된다.

2. 1. 미군 군목과 외국인 거주자를 위한 교회 (1898-1901)

1898년 스페인-미국 전쟁 이후, 미국 성공회 군목 찰스 피어스 목사가 필리핀에서 최초의 성공회 예배를 거행했다.[6] 이 예배는 마닐라에 거주하는 미국인 및 기타 영어 사용자를 위해 열렸다. 1899년에는 성 안드레 형제회의 휴 네더콧과 제임스 스마일리가 군목들을 돕기 위해 도착했다. 같은 해, 당시 중국 상하이 주교였던 프레데릭 R. 그레이브스 주교가 마닐라를 방문하여 미국 교회 사업을 감독하고, 최초의 필리핀인 7명을 성공회에 받아들였다.[6]

2. 2. 미국 성공회 선교 구역 (1901-1937)

1901년 10월 4일부터 11일까지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미국 성공회 (PECUSA) 총회에서 '''필리핀 제도 선교 구역'''이 설립되었다.[8] 같은 총회에서 찰스 헨리 브렌트 목사가 주교로 선출되었고, 1901년 12월에 성별되어 해당 선교 구역의 첫 번째 주교가 되었다. 그의 후임인 거버너 프랭크 모셔는 1920년부터 1941년까지 재임했다.

필리핀은 오랜 스페인 식민 지배를 받은 가톨릭 국가이지만, 필리핀 성공회는 선교 초기부터 다른 개신교 교파와 달리 필리핀 가톨릭 신자를 성공회 신자로 개종시키는 것보다, 비신자, 특히 루손섬 산악 지대의 이고로트족과 같은 원주민, 마닐라의 중국계 필리핀인, 민다나오섬무슬림을 대상으로 선교 활동을 했다.[8]

1937년 1월 25일, 에두아르도 롱기드, 알버트 마스페레, 마크 술루엔이 부제로 서품되면서 최초의 필리핀인 사제가 되었다.

2. 3. 필리핀 성공회 (1937-1990)

1937년 10월, 미국 성공회 총회는 필리핀 제도 선교 구역을 필리핀 성공회(PEC)로 승격했다. 이는 필리핀 교회가 미국 성공회 산하 선교 구역에서 '교구'로 지위가 변경되었음을 의미한다.[6] 1942년, 일본 성공회 도호쿠 교구의 노먼 빈스테드 주교가 제3대 주교로 부임했다. 같은 해 일본군이 필리핀을 침공하면서, 모든 미국인 선교사들은 수용소로 보내졌지만, 일본어를 할 수 있었던 빈스테드 주교는 이들을 돌볼 수 있었다. 필리핀 성공회는 2명의 필리핀인 사제인 롱기드와 마스페레가 이끌었다.[7]

일본군 점령에서 해방된 후, 필리핀 성공회는 대부분의 건물을 잃었다. 빈스테드 주교는 마닐라의 주교좌 성당 부지를 매각하고, 케손 시에 18ha의 부지를 구매하여 주교좌 성당, 성 루크 의료 센터 등 교회 시설을 이전했다. 사가다에 있던 성 안드레 신학교도 1947년 케손 시로 이전하여 1953년 교사가 완공되었고, 1960년에는 예배당, 도서관, 기숙사도 완공되었다.

라이먼 오길비 주교 시절, "필리핀화"가 진행되어 1959년 베니토 카반반이 최초의 필리핀인 보좌 주교로 서품되었다. 1964년에는 롱기드도 보좌 주교로 서품되었다. 1967년, 카반반 보좌 주교가 제5대 필리핀 주교로 취임하여 최초의 필리핀인 주교가 되었다. 1971년, 단일 교구를 3개의 교구(중부, 북부, 남부)로 분할하고, 각 교구에 필리핀인 주교(카반반, 롱기드, 콘스탄시오 망구라마스)를 임명했다.

세 개의 교구를 갖춘 필리핀 성공회는 성공회 내에서 교회 관구처럼 조직되었지만, 미국 성공회의 관할 하에 있었기 때문에 대주교 권한은 없었다. 세 교구는 필리핀 성공회와 미국 성공회의 교구로 간주되었다. 필리핀 성공회는 자체적인 헌법과 교회법, 전국 위원회, 전국 2년제 총회, 주교 회의, 국립 사무실 등을 갖추었다.

2. 4. 완전한 자치 (1990-현재)

1990년 5월 1일, 필리핀 성공회는 미국 성공회로부터 공식적으로 분리되어 자치 교회가 되었으며, 성공회 내 관구로 필리핀 성공회라는 이름으로 출범했다.[6]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마닐라에서 케손 시로 이전한 부지에 있는 성 마리아-성 요한 대성당이 본부이다. 신자 수는 약 12만 5천 명으로 추정된다.[7]

3. 교리 및 관행

필리핀 성공회는 주교, 사제, 부제의 세 가지 성직 제도를 유지하고 있다. 현지에서 변형된 성공회 기도서가 사용된다.

4. 구조

필리핀 성공회는 루손 섬에 5개, 민다나오 섬에 2개, 총 7개의 교구로 구성되어 있다.[9] 비사야 세부에 8번째 교구를 설립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4][5]

'''루손 섬'''


  • 중앙 필리핀 교구 (주교좌: 케손 시)
  • 북 필리핀 교구 (본톡)
  • 북 루손 교구 (타북)
  • 북중앙 필리핀 교구 (바기오)
  • 산티아고 교구 (산티아고)


'''민다나오 섬'''

  • 남 필리핀 교구 (코타바토)
  • 다바오 교구 (다바오)

4. 1. 수석 주교

필리핀 성공회는 필리핀의 수석 주교가 이끌며, 수석 주교는 교회 전체의 수위이자 교구장 대주교 역할을 한다. 이 직책은 1969년 미국 성공회의 의장 주교의 지위 아래 교구장 역할로 만들어졌으며, 1990년 필리핀 성공회가 자치권을 얻으면서 수위 주교의 역할이 추가되었다.

일반적인 성공회 관행과는 달리, 미국 성공회의 의장 주교 및 이전 필리핀 독립 교회의 최고 주교와 마찬가지로, 수석 주교는 교구 주교가 아니다.

이름교회직위출생사망나이
필리핀 성공회의장 주교 (1967–1978)1911199078세
필리핀 성공회의장 주교 (1978–1982)1933202086세
rowspan=2 |필리핀 성공회의장 주교 (1982–1986)1924200883세
필리핀 성공회수석 주교 (1990–1993)
필리핀 성공회의장 주교 (1986–1990)1930202191세
필리핀 성공회수석 주교 (1993–1997)1932201381세
필리핀 성공회수석 주교 (1997–2009)1944201672세
필리핀 성공회수석 주교 (2009–2014)1949201869세
필리핀 성공회수석 주교 (2014–2017)1951생존73세+
필리핀 성공회수석 주교 (2017–2021)1956생존67세+
필리핀 성공회수석 주교 (2021 – 현재)1957생존67세+


4. 2. 교구

필리핀 성공회에는 현재 7개의 교구가 있으며, 루손 섬에 5개, 민다나오 섬에 2개가 있다.[9] 비사야에는 세부에 8번째 교구를 설립할 계획이 고려 중이다.[4][5]

'''루손 섬'''

  • 중앙 필리핀 교구 (주교좌: 케손 시 (마닐라 케손 시))
  • 북 필리핀 교구 (본톡)
  • 북 루손 교구 (타북)
  • 북중앙 필리핀 교구 (바기오)
  • 산티아고 교구 (산티아고)


'''민다나오 섬'''

  • 남 필리핀 교구 (코타바토)
  • 다바오 교구 (다바오)

5. 선교의 특징

필리핀은 오랜 스페인 식민지 지배로 가톨릭교 대국이지만, 필리핀 성공회 선교의 중심은 다른 개신교 교파 교회와 달리 필리핀 가톨릭 신자를 성공회 교인으로 개종시키는 것이 아니라, 미신자, 특히 루손 섬의 산악 부족인 이고로트족 사람들, 마닐라중국계 필리핀인들, 민다나오 섬의 이슬람교도들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옛 선교 지역이 되었을 때부터의 특징이다.[8]

6. 사회 참여

필리핀 성공회는 성 안드레 신학교, 브렌트 국제 학교 4개교, St. Luke's Medical Center와 부속 간호사 양성소를 운영하고 있다.

7. 소속 협의회

필리핀 성공회는 성공회 공동체에 속해 있으며, 필리핀 기독교 협의회(NCCP)의 회원이고, 세계 교회 협의회(WCC)의 일원이다.[10]

8.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Episcopal Church in the Philippines http://www.oikoumene[...] World Council of Churches website 2010-05-18
[2] 웹사이트 Episcopal Church in the Philippines elects Poltic as next prime bishop https://www.rappler.[...] 2024-05-16
[3] 웹사이트 𝗣𝗥𝗜𝗠𝗘 𝗕𝗜𝗦𝗛𝗢𝗣’𝗦 𝗔𝗗𝗗𝗥𝗘𝗦𝗦 𝗧𝗢 𝗧𝗛𝗘 𝟭𝟮𝗧𝗛 𝗘𝗫𝗘𝗖𝗨𝗧𝗜𝗩𝗘 𝗖𝗢𝗨𝗡𝗖𝗜𝗟 https://ecphilippine[...] Episcopal Church of the Philippines 2024-09-17
[4] 웹사이트 TEXT: ''Brothers and sisters in the faith. The St. James the Apostle Church in Talisay City is the only Episcopal Church in the province of Cebu.'' / https://www.facebook[...] EDNP Facebook Group 2022-12-04
[5] 웹사이트 TEXT: ''ST JAMES EPISCOPAL CHURCH IN CEBU IS ON THE RISE'' / https://www.facebook[...] EDNP Facebook Group 2022-08-14
[6] 웹사이트 日本聖公会東北教区の歴史 http://nskk-tohoku.c[...]
[7] 웹사이트 フィリピン聖公会の歴史、現況と印象 by 眞野玄範(2014年) http://michinori-man[...]
[8] 웹사이트 Ⅳ 東南アジアの聖公会:「少数者」の教会(2)フィリピンの宣教 by 遠藤雅己(『神戸国際大学紀要』第82号に「アジアの聖公会:宣教と教会形成、キリスト教の社会史覚書」) http://www.arskiu.ne[...]
[9] 웹사이트 Philippines in Anglicansonline.org http://www.anglicans[...]
[10] 웹사이트 Episcopal Church of the Philippines https://web.archiv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